제주 세계자연유산 거문오름 국제 트레킹
제주도는 대한민국의 최남단에 위치하는 화산섬이다. 약 120만 년 전에 시작된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섬은 중앙에 해발 1,950m의 한라산이 위치하고, 많은 수의 오름과 현무암 용암의 분출로 형성된 용암동굴들이 섬 전체에 산재한다. 2007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였다. 제주도의 세계자연유산은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성산일출봉, 거문오름용암동굴계 등 3개 지역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자연유산관리본부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지정을 기념하여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일원에서 오름경관과,다양한 자연생태환경, 그리고 동굴탐방등의 체험을 제공하는 제주 세계자연유산 국제 트레킹 이벤트를 열고 있다.
제주 세계자연유산 거문오름 국제 트레킹은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에 있는 기생화산인 거문오름을 일대 총연장 10.5㎞의 생태탐방 코스를 개발 운영하고 있는데 탐방코스는 A, B 2개의 코스로 이루어졌다.
A코스는 선흘2리(노인회관)-거문오름 정상-분화구-수직동굴에 이르는 5.6㎞를 걸으며 20여개의 오름경관과 숯가마터, 일본군 진지동굴, 수직동굴 등을 둘러볼 수 있다. 3시간 정도 소요된다.
B코스는 수직동굴로부터 다시 움막터-산딸기 군락지-벵뒤굴-윗밤오름까지 총 10.5㎞를 연결하는 6시간 코스로, 거문오름 주변의 독특한 지질과 '곶자왈'의 자연생태를 체험할 수 있다.
제주 세계자연유산 국제 트레킹이 열리고 있는 거문오름을 자세히 알아보자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에서 구좌읍 덕천리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이 동굴계는 해발 454m의 작은 화산인 거문오름으로부터 수차례에 걸쳐 분출된 다량의 현무암질 용암류(熔岩流; lava flow)가 지표를 따라 북북동 방향으로 약 13㎞ 떨어진 해안까지 흘러가는 동안 형성된 일련의 용암동굴들의 무리를 말하며, 형성시기는 약 30만년 전에서 10만년 전 사이인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에 속하는 대표적인 용암동굴에는 거문오름에 가까운 순서로 선흘수직동굴, 벵뒤굴, 북오름동굴, 대림동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 당처물동굴 등이 있으나 계속해서 더욱 많은 동굴들이 발견될 것으로 판단된다.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에 속하는 동굴 중에서 벵뒤굴, 만장굴, 용천동굴, 당처물동굴만이 국가지정문화재인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이 동굴들은 규모가 크며 생성시기가 매우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굴의 내부 구조나 각종의 많은 동굴생성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고 내부 경관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이 우리나라 최초로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는데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2005년 9월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에 대한 연구 결과가 국내학술지에 발표됨으로서 이 동굴계가 공식적으로 인정되기 시작하였다.
거문오름 화산활동
거문오름은 지금으로부터 약 28만 년 전 화산활동을 시작하였는데, 폭발적인 현무암질 화산활동과 함께 높이 112m의 작은 화산체를 형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분화구로부터 막대한 양의 용암을 유출시켰다. 화구로부터 용암류의 유출에 따라 화산체는 말굽형 분화구의 모양을 보여주며, 지형 경사를 따라 북쪽으로 흐른 용암류는 약 7㎞를 흘러 선흘 동백동산까지 추적이 가능하다. 이 용암 협곡(lava channel)은 제주도 내에서 최장의 규모를 자랑하며, 용암류가 흐른자리에는 ‘선흘곶’이라고 부르는 자연림이 울창한 특이한 화산지형이 형성 되어 있다. 또한 거문오름으로부터 유출된 거대한 용암류의 흐름은 지표면 하부에 대규모의 용암 동굴을 형성하였다. 용암동굴은 용암의 표면이 식어서 먼저 굳어지고 난 후에도 내부의 용암이 계속 이동하면서 만들어진 용암 내부의 긴 공간이다.
거문오름의 역사와 문화
거문오름 일대는 고난과 비극의 제주근대사를 상징하는 핵심 공간중의 하나로 꼽힌다. 일제강점기와 이어진 4·3사건의 슬픔과 아픔이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다. 특히,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이 만든 갱도진지 등 군사시설은 오늘날까지 오름의 생명력을 갉아먹고 있다. 이들 갱도진지는 일본군이 제주도를 최후의 전쟁기지로 삼았던 생생한 역사현장이다. 이어 해방공간에 불어 닥친‘4·3’당시에는 사람들의 도피처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과거 넓고 깊숙한 거문오름 일대는 사람들이 숯을 굽고 화전을 일구던 생활터전이었다. 시대를 거슬러 가면 조선시대 거문오름 주변은 국영목장의 무대가 된다. 이처럼 거문오름의 이면엔 제주근대사의 아픔과 비극이 면면히 흐르고 있다.
거문오름의 동·식물
거문오름의 식생은 조림된 삼나무림, 낙엽활엽수림, 관목림 및 초지, 상록활엽수림 등 특징적인 4개의 숲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용암하도를 따라 다양한 함몰구가 발달해 독특한 생태적 입지를 지니고 있으며 난·온대식물이 공존하는 식생과 식물상을 갖는 곳이다. 또한 식물 종 다양성이 높으며 특히, 양치식물의 경우 지리적인 입지가 비슷한 다른 지역에 비해 독특한 식물상을 보인다. 특징적인 식물로는 일색고사리, 주름고사리, 지느러미고사리, 곳섬잔고사리, 주걱일엽, 쇠고사리, 좀고사리, 주걱비름, 나도은조롱, 가시딸기, 붓순나무, 식나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숲에는 곤충류를 비롯한 다양한 먹이자원으로 직박구리, 제주휘파람새, 동박새, 곤줄박이, 박새, 멧비둘기, 흰배지빠귀, 호랑지빠귀, 큰오색딱다구리, 어치와 같은 텃새와 팔색조, 삼광조, 흰눈썹황금새와 같은 철새들의 번식지가 되고 있다.
사진으로 보는 A코스 탐방로
▲선흘2리 마을과 거문오름 들어가는 입구
거문오름 정상 - 아래로 보이는 분화구에서 용암이 분출하여 바다쪽으로 흐르면서 벵뒤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 당처물동굴 등을 만들었다. 이 곳 주변으로 화산섬의 상징인 오름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용암협곡 - 화산분화구로부터 분출한 용암류가 연속적으로 흐르며 만들어진 협곡을 관찰 할 수 있다.
식나무․붓순나무군락 - 관상수로 널리 각광받고 있는 희귀식물인 식나무와 붓순나무가 군락을 이루는 지역이다.
숯가마터 - 현무만을 아치형으로 둥글게 쌓아올린 숯가마터로 가마 뒤쪽은 타원형의 숨구멍이 있다. 오른편에 숯을 만들었던 사람들이 기거했던 움막터가 있다.
일본 갱도진지 -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 108여단이 주둔했던 것으로 추정 되고 있는 가운데 그들이 파놓은 갱도진지 10여 곳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군수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이용되었던 병참도로의 흔적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
화산탄 - 거문오름 분화구에서 분출한 용암 덩어리가 땅에 떨어지면서 용암류 속에 박혀있는 화산탄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용암함몰구 식생 - 용암하도를 따라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함몰구를 볼 수 있는 지역이다. 이곳 용암 함몰구에서는 식생구조와 식물상이 유사할뿐만 아니라 구성종 면에서 매우 독특한 양상을 보인다.
거문오름 수직굴 - 이곳은 거문오름이 용암을 분출하면서 형성된 분화구로 해발 355m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그 깊이는 35m로 이 중간지점에 수직굴 입구가 있다. 이곳 분화구 정상에서 수직굴 입구까지는 70도의 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그 밑으로는 수직으로 되어 있다.
김종수 집사님 부부, 장석균 장로님, 임홍묵 집사님, 최경낙 집사님 부부, 지우선 장로님과 점심식사(교래리)
주님의 은혜로 영혼육간 강건함과 자녀손들,
삶의 현장에 기쁨이 충만하시기를 간구합니다.
'남여전도회 섬김의 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우선장로님의 방수페인트 작업에 임홍묵, 김종수 집사님도 함께 했습니다 (0) | 2011.06.16 |
---|---|
남여전도회 신청자들이 6월5일(주일)오후, 사려니숲으로 야유회를 다녀왔습니다 (0) | 2011.06.11 |
성탄절 준비 : 포인세티아 화분을 키워서 장식한 장석균 장로님을 축복합니다 (0) | 2009.12.13 |
남전도회에서 대예배실 카펫을 방염처리된 새로운 카펫으로 시공하였습니다 (0) | 2009.12.13 |
교회주방 바닥, 벽, 환풍기 설치공사에 수고해주셨습니다 (0) | 2009.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