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단기선교 및 성지순례 여행기

탈북동포에 대한 지원과 중보가 절실합니다

by 서귀포강변교회 2013. 1. 22.

‘탈북 2세’의 눈물

탈북 엄마도, 중국인 아빠도 사라졌다…中서 고아로 사는 4000명

서울신문|입력2013.01.22 02:22

 

[서울신문]배고픔 때문에 중국으로 탈출한 북한 여성이 중국인과 결혼해 낳은 '탈북 2세 아동'(19세 미만) 가운데 부모나 친척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사실상 고아가 4000여명이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북한 출신 어머니를 둔 중국 내 전체 탈북 2세 아동은 2만~3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서울신문이 21일 입수한 국가인권위원회의 '해외 체류 북한이탈주민 아동 인권 상황 실태조사' 보고서에는 이같은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는 국가인권위가 중국 내 탈북 2세 아동의 실태를 현지 조사해 작성됐다. 정부 차원의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보고서는 민주통합당 박기춘 의원실을 통해 입수했다. 앞서 인권위 연구진은 지난해 7~9월 탈북자 밀집 거주지인 동북3성(지린성·랴오닝성·헤이룽장성)·산둥성 등 중국의 4개 성 14개 지역에서 모두 100명의 탈북 2세 가정을 찾아 심층 면접 조사를 했다.

조사 결과 면접 대상 아동 중 21.0%만이 북한 출신 생모와 살고 있었다. 홀아버지(한족 또는 조선족)와 사는 아동이 20.0%, 조부모나 친척 보호를 받는 아동이 39.0%, 기독교 관련 쉼터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20.0%였다. 연구팀은 이 조사 결과를 존스홉킨스대와 국내 비정부기구(NGO) 등에서 추산한 재중 탈북 아동 규모에 출산율 등을 감안해 수정 반영한 뒤 전체 탈북 2세 아동 규모를 2만~3만명으로, 이 가운데 4000명을 사실상 고아로 각각 추정했다.

어머니가 중국 공안에 잡혀 강제 북송된 탓에 생이별을 겪은 아동은 조사 대상 중 36.0%에 달했다. 어머니의 가출로 가정이 찢어진 경우는 31.0%였는데 집을 나간 탈북 여성 중 상당수는 한국행을 택했다. 어머니와 떨어진 어린이 중 76.3%는 '어머니가 보고 싶다'고 응답하는 등 크고 작은 정신적 상처를 안고 살았다.

보고서는 외교통상부에 '한국에 정착한 탈북 여성이 아버지의 동의를 받았을 경우 자녀를 국내로 데려올 수 있도록 관련 절차 마련을 검토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한편, 미국 의회에서 이달 초 탈북 아동의 입양 등을 돕기 위해 '탈북 어린이 복지법안'을 통과시키는 등 탈북 2세를 돕기 위한 국제사회의 움직도 활발해지고 있다.